[유럽특허 독파하기] 11. Claims (Articles 84 EPC); Rule 43; 필수적 특징; PBP

 조문

Article 78 EPC

Requirements of a European patent application

(1)A European patent application shall contain: 

(a)a request for the grant of a European patent; 

(b)a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c)one or more claims; 

(d)any drawing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r the claims; 

(e)an abstract, 

and satisfy the requirements laid down in the Implementing Regulations.


Article 84 EPC

Claims

The claims shall define the matter for which protection is sought. They shall be clear and concise and be supported by the description.


Rule 43 EPC

Form and content of claims

(1)The claims shall define the matter for which protection is sought in terms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invention. Wherever appropriate, claims shall contain: 

(a)a statement indicating the designation of the subject-matter of the invention and those technical feature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definition of the claimed subject-matter but which, in combination, form part of the prior art [즉, 전제부]; 

(b)a characterising portion, beginning with the expression "characterised in that" or "characterised by" and specifying the technical features for which, in combination with the features stated under sub-paragraph (a), protection is sought [즉, 특징부].

(2)Without prejudice to Article 82, a European patent application may contain more than one independent claim in the same category (product, process, apparatus or use) only if the subject-matter of the application involves one of the following [카테고리 당 1 독립항 원칙 & 예외]:

(a)a plurality of interrelated products [플러그 & 소켓], 

(b)different uses of a product or apparatus, 

(c)alternative solutions to a particular problem, where it is inappropriate to cover these alternatives by a single claim [동일한 과제를 위한 대안적인 해결]. 

(3)Any claim stating the essential features of an invention may be followed by one or more claims concerning particular embodiments of that invention [바람직한 놈을 종속항으로 기재할 수 있다는 것]. 

(4)Any claim which includes all the features of any other claim (dependent claim) shall contain, if possible at the beginning, a reference to the other claim and then state the additional features [종속항의 인용]. A dependent claim directly referring to another dependent claim shall also be admissible [종속항이 종속항 인용 가능]. All dependent claims referring back to a single previous claim, and all dependent claims referring back to several previous claims, shall be grouped together to the extent and in the most appropriate way possible [다중 인용 종속항 허용 가능]. 

(5)The number of claims shall be reasonable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the invention claimed [적절한 수]. The claims shall be numbered consecutively in Arabic numerals. 

(6)Except where absolutely necessary, claims shall not rely on references to the description or drawings in specify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invention. In particular, they shall not contain such expressions as "as described in part ... of the description", or "as illustrated in figure ... of the drawings"[도면 및 발명의 설명 인용, 특히 옴니버스식 허용 안됨]. 

(7)Where the European patent application contains drawings including reference signs, the technical features specified in the claims shall preferably be followed by such reference signs relating to these features, placed in parentheses, if the intelligibility of the claim can thereby be increased. These reference signs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claim. [도면 부호 포함시켜야 하나, 이는 청구범위 제한 X]

*참고*

G2/88 Reasons 2.5, G1/04 Reasons 6.2 등은 Article 84 와 Rule 43(1) EPC의 관계를 설명함.

해석

Defining "the matter" to be protected

Rule 43(1) EPC는, 청구항이 보호되어야 할 "matter"를 정의하기 위해 발명의 "technical features"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함.

  • 이러한 특징은 "구조적' 기술적 특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laim 1: A tent apparatus comprising two tent poles and a tarpaulin defining two apertures therein each disposed adjacent to a respective one of two opposite edges of the tarpaulin for receiving an end of a respective tent pole, wherein each tent pole comprises a handle at one end thereby defining a walking stick. …i.e. all about structure…

  • 이러한 특징은 "기능적"일 수 있다. 당업자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진보적인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도 어려움이 없는 경우. 

Claim 1: A transmitter comprising…a signal generator adapted to generate a signal…a signal modulator adapted to apply frequency modulation (FM) to the signal…

전제부와 특징부: Rule 43(1) 관련 

청구범위는 전제부와 특징부의 형태로 구성됨. 전제부는 선행기술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에서 선행기술은 closest prior art이다. 전제부는 독립항에만 적용되며 종속항에는 적용되지 않음.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의 특징만 지칭하면 됨. 잘 알려진 것을 포괄적으로 정의할 필요가 없다.

  • 예시 1
A tent apparatus comprising two tent poles and a tarpaulin defining two apertures therein each disposed adjacent to a respective one of two opposite edges of the tarpaulin for receiving an end of a respective tent pole, characterised in that:
each tent pole comprises a handle at one end thereby defining a walking stick.

  • 예시 2

 A transmitter comprising…a signal generator adapted to generate a signal…a signal modulator adapted to apply a modulation to the signal, characterised in that: the modulation is a frequency modulation (FM).


출원인은 전제부에 closest prior art에서 도출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기능을 포함하고자 하는 경우, 그렇게 할 수 있고 EPO는 이를 수락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는 특징 부분을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고, 단순히 상업적인 이유가 있을 수도 있음.

그러나 전제부는 선행 기술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함. 이는 다른/더 나은 선행기술이 없는 경우, EPO에서 청구항의 전제부를 근거로 하여 진보성 거절이유로 이용할 수 있음.

항상 전제부-특징부 형태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가끔은 청구항을 두 부분으로 나누면 발명이나 선행 기술에 대한 왜곡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음.

전제부와 특징부 사이에 이러한 요소를 분리하는 것은, 부정확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분리하게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전제부-특징부로 구성된 형태를 적용하지 않는 것이 허용될 수 있음:

  • Two-part form #1:

A tent apparatus comprising two tent poles and a tarpaulin defining two apertures therein each disposed adjacent to a respective one of two opposite edges of the tarpaulin for receiving an end of a respective tent pole, characterised in that: each tent pole comprises a handle at one end thereby defining a walking stick.

  • Two-part form #2:

A tent apparatus comprising two walking sticks each comprising a handle at one end, and a tarpaulin defining two apertures therein each disposed adjacent to a respective one of two opposite edges of the tarpaulin for receiving an end of a respective tent pole, characterised in that: each walking stick defines a said respective tent pole.

 #1은 텐트 폴을 지팡이로 사용하는 것이 현명한 아이디어라고 제안하는 반면, #2는 다음과 같이 제안합니다. 지팡이를 텐트 폴로 사용하는 것이 더 영리하다고 제안함. 이 두 가지 형태는 모두 약간 왜곡된 그림을 그린다고 볼 수 있음. 이럴 때 특징부-전제부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허용될 수 있음.

독립항: Rule 43(2) 

Rule 44(1)(단일성)은 동일한 출원에서 다른 카테고리 독립항을 포함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음.

  •  여기에서 카테고리란? product, process, apparatus or use (Note: 이 규정 상으로는 물건이랑 장치가 다른 카테고리 / 방법이랑 용도가 다른 카테고리)

그러나, 동일 카테고리의 독립항이라면, Rule 43(2)에 따른 예외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허용하도록 하고 있음.

  • a plurality of interrelated products
    • 여기에서는 products는 apparatus를 포함하는 개념
  • different uses of a product or apparatus

  • alternative solutions to a particular problem, where it is inappropriate to cover these alternatives by a single claim.
    • 다른/ 서로 배타적인 가능성

즉, 단일성 이슈를 살피고 문제 없는 경우 1카테고리 독립항 원칙을 따져야 함.

GL F-IV, 3.2

종속항: Rule 43(3)(4)

43(3): 'particular embodiments'에 대한 청구항(종속항)이 본질적인 특징을 지칭하는 청구항(독립항)을 뒤따를 수 있다. 여기에서 'particular embodiment'는 독립항에서 정의된 것보다 조금이라도 specific 한 개시를 나타냄.

43(4): 전제부-특징부는 독립항을 위한 것이고, 종속항은 추가 사항을 언급함


Clear and concise

  • 청구항 용어의 의미는 청구항의 문구만으로 당업자에게 "명확"해야 한다. 각 청구항은 해당 단어가 관련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갖는 의미와 범위를 부여하여 읽혀야 한다 (발명의 설명이 단어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한).
  • 또한 청구항을 기술적으로 이해하려고 시도하면서 읽어야 하며, 여기에는  청구항 문구의 문자적 의미에서 벗어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T223/05 참조).

Clarity 거절이유 

"Consisting of"
  • The term "consisting of" means there is no other component. Therefore, each maximum or minimum percentage stated in Claim 1 for any of these components should also add up to 100% with the amounts of the remaining components lying within the ranges defined in this claim; see T 711/90.
  • 즉, 한국 심사기준이랑 동일한 요구사항
The expression "in"
  • 두 개의 entities 사이, entity와 activity, activites 사이를 연결하는 in은 애매한 표현일 수 있다.
  • F-IV, 4.15
The expression "for"
  • suitable for : to the extent that ~ could be used in ....
  • F-IV, 4.13.1

Supported by the description

G2/88 결정에서 EBA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이유 2.5 참조):

Article 84EPC는 청구항이 "보호가 요구되는 사항을 정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Rule 43(1)에 따르면 청구는 "발명의 기술적 특징 측면에서 보호가 요구되는 문제를 정의해야한다"고 하며...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발명에 필수적인 물리적 특징이다. 이는 physical entity 또는 physical activity일 수 있으며, 기능적으로 정의될 수 있음.

 Essnetial elements

EPO는 청구항에 대한 "support"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는 "essential feature" 공식을 개발함.  예를 들어, T32/82에서 BoA는 Article 84 EPC를 특허권자에게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고 해석함:

“…define clearly the object of the invention, that is to say, indicate all the essential features thereof…”

BoA는 "essential features"가 다음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함:

 “…all features which are necessary to obtain the desired effect, or, differently expressed, which are necessary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with which the application is concerned...”

BoA는 또한 T133/85에서 "essential feature"공식을 채택하여 Art 84 EPC의 support 대한 테스트가 다음과 같다고 말함:

“…A claim which does not include a feature which is described in the application . . . as an essential feature of the invention, and which is therefore inconsistent with the description, is not supported by the description for purposes of Article 84 EPC…”

필수적인 특징의 일반화

특허 청구항은 항상 특허 명세서에 제시된 특정 예에 의해 예시된 발명 개념을 일반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개념을 얼마나 일반화할 것인지를 결정할 때, 보다 구체적인/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본질적인 특징의 관점에서 결정할 때, 출원서 전체가 당업자가 청구범위에 걸쳐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의 필요한 특징을 어느 정도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즉, sufficiency 요건과 같은 아이디어)

발명의 모든 세부 사항을 독립 청구항에 포함할 필요는 없음. 전체적으로 일반화된 기능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우. 허용되는 일반화의 범위는 관련 선행 기술에 비추어 판단한다. 완전히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발명은 더 많은 청구항을 받을 수 있다. 알려진 기술의 발전과 관련된 것보다 청구항의 일반성이 더 높다. EPO 심사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GL F-IV, 6.2):

A fair statement of claim is one which is not so broad that it goes beyond the invention nor yet so narrow as to deprive the applicant of a just reward for the disclosure of his invention. The applicant is allowed to cover all obvious modifications of, equivalents to and uses of that which he has described. In particular, if it is reasonable to predict that all the variants covered by the claims have the properties or uses the applicant ascribes to them in the description, he is allowed to draw the claims accordingly.”



PBP 청구항

 The board stated that claims for products defined in terms of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known as "product-by-process" claims) were admissible only if 

  1. the products themselves fulfilled the requirements for patentability and 
  2. there was no other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application which could have enabled the applicant to define the product satisfactorily by reference to its composition, structure or some other testable parameter (established case law, see e.g. G 2/12, OJ 2016, A28 and G 2/13, OJ 2016, A29; T 956/04; T 768/08; T 150/12).

(2번째의 표현은 조금 와닿지 않음...출원 명세서에 정보가 없다고 될 일인가...?)

즉, 기재불비와 관련하여 명세서에 "다른 방식으로는 정의될 수 없다"는 요건이 필요함. 다른 표현:

G 2/12:
For a product-by-process claim to be allowable it needs to be established that (a) it is impossible to define the claimed product other than in terms of a process of manufacture and (b) the claimed product itself meets the patentability requirements of Article 52(1) EPC. 
  • 침해 제품에 대한 분석에 의존하도록 하면 안된다 (T 1988/12)
In the board's view, the suggestion that the skilled person has to rely on an analysis of a potentially infringing product to know what the subject-matter for which protection is sought actually is, runs counter to the purpose of Article 84 EPC (see point 6., above)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EPO는 23년 1월부터 이의신청의 구두절차(oral proceeding)의 기본 형식을 화상회의(ViCo)로 정하였음

[유럽특허 독파하기] 13. 발명자의 지정 (Designation of the inven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