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특허 독파하기] 12. 우선권 (Article 87 EPC)
조문
(1) Any person who has duly filed, in or for (a) any State party to the Paris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Property or (b) any Member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an application for a patent, a utility model or a utility certificate, or his successor in title, shall enjoy, for the purpose of filing a European patent application in respect of the same invention, a right of priority during a period of twelve months from the date of filing of the first application. Article 4A Paris Convention (1) Any person who has duly filed an application for a patent, or for the registration of a utility model, or of an industrial design, or of a trademark, in one of the countries of the Union, or his successor in title, shall enjoy, for the purpose of filing in the other countries, a right of priority during the periods hereinafter fixed. |
- 파리조약은 external priority에대해서만 규정, EPC는 internal priority도 포함
조문 해석
주체적 요건 (Any person ... or his successor in title)
- 우선권 이전(transfer of priority)은 EP 출원일 이전에 이루어져야 함(GL A-III, 6.1).
- (선출원) A 👉 (후출원) A + B는 괜찮음 (GL A-III, 6.1)
- (선출원) A + B 👉 A는 문제가 됨
- 과거 (T 788/05)
- transfer하였다는 증거가 요구됨
- GL: transfer of priority는 relevant national privision에 따라서 valid해야 함.
- 이는, T 844/18(CRISPR)에서 확인됨 - 관련 참고 글
- "all applicants approach"
- G 1/22
- (선출원) A+B 👉 PCT - 미국(A), 나머지국가(B) - 관련 참고 글
- 결론: PCT 공동 출원했다는 사실이 상대방이 우선권을 의존하는 것을 허용한 것으로 암시한다.
- Strong rebuttable presumption that applicants are entitled to priority
- GL: transfer or right은 transfer of priority application과 구별되고 EPC에 따라 평가되어야 한다 (any national laws와 무관하게). EPC는 formal reqruiements를 요구하지 않는다.
- G1/22 이후 사건
- T2516/19는 위 크리스퍼 특허의 분할출원임.
- 록펠러/ 하버드 -> 하버드
- preliminary opinion: 록펠러가 분쟁을 일으키지 않는 이상 반증은 없을 것이므로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동일 발명 (Same invention)
- 과거에는 이 해석이 모호하던 시절이 있었음
- G 2/98 – same invention = same subject-matter. A123(2) test applies (GL F-VI,2.2)
- 즉, directly and unambiguously derivable
선출원
A regular national filing shall mean any filing that is sufficient to establish the date on which the application was filed, whatever the outcome of the application may be.
- A European application is accorded as its date of filing the date on which it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Rule 40, or,
- if filed under the PCT, the date on which it satisfies Art. 11 PCT.
- This date remains unchanged except in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late-filed drawings or parts of the description provided for in Rule 56 EPC and late-filed correct application documents or parts filed under Rule 56a.
- 즉, R56 / 56a 의 상황에서는 출원일이 변경되는 것으로 취급하라는 것으로 보임.
시기적 요건 (twelve months)
- 휴무일인 경우 연장(R134(1) EPC)
- Further Processing에서 제외(A121(4))
- A122에 따라 Re-establishment이 가능함(R136(1)).
- 우선권 기간 만료 후 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함(R136(1)), [일반적인 re-establishment와 달리, non-compliance의 원인이 제거된 시점부터 2개월이 아님]
- 이 기간 내에 생략된 행위(예: EP 신청서 제출 날짜 설정)를 완료해야 함(R136(2)). - GL A-III, 6.6 참조
- 참고로, PCT 규정 - Rule 26bis PCT
선출원의 요건 (First application)
- [최선성] 동일한 subject-matter 가 동일한 출원인 또는 그의 전임자에 의해, 보다 이전 출원에서 공개된 경우, 해당 주제에 대한 우선권은 상실됨.
- 그러나 A87(4)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경우 후속출원의 우선권이 살아날 수 있음:
- 이전 출원이 후속출원하던 날에 취하, 포기 또는 거절되는 등으로 어떠한 권리도 존속시키지 않은 경우;
- 동일한 출원인/승계인이 출원한 경우; 및
- 동일한 국가에서 출원된 경우
|
복수 우선권 (Multiple priorities )
Multiple priorities may be claimed in respect of a European patent application,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they originated in different countries. Where appropriate, multiple priorities may be claimed for any one claim. Where multiple priorities are claimed, time limits which run from the date of priority shall run from the earliest date of priority. |
G1/15 (부분적인 우선권):
“…entitlement to partial priority may not be refused for a claim encompassing alternative subject-matter by virtue of one or more generic expressions or otherwise (generic “OR”-claim) provided that said alternative subject-matter has been disclosed for the first time, directly, or at least implicitly, unambiguously and in an enabling manner in the priority document…”
부분적인 우선권 주장이 가능하다! 대안적인 subject matter가 선행문헌에서 공개되었으면, 대안적인 subject matter를 포괄하는 청구범위의 부분 우선권이 인정될 수 있다.
주의사항: 우선권을 부분적으로 판단하더라도 patentability는 청구항 레벨에서 다뤄지므로 patentability가 없냐는 질문을 유의해야 함.
사안 1:
- Claim 1 = A tablet comprising 3 to 33% (w/w) of compound A
- 우선권 출원 = A tablet comprising 5 to 33% (w/w) of compound A
- 우선권 기간에 공개된 선행문헌 = A tablet comprising 10% (w/w) of compound A
G 1/15에 따라 5~33%와 관련된 주제가 우선권을 가지며, 54(3) 선행문헌은 신규성 공격에 이용할 수 없다. 나머지 subject matter (3-5%)는 우선권이 없지만 청구항이 신규함. 따라서, 신규성 인정!
사안 2:
- Claim 1 = A tablet comprising 3 to 33% (w/w) of compound A
- 우선권 출원 = A tablet comprising 3 to 33% (w/w) of compound A
- 우선권 기간에 공개된 선행문헌 = A tablet comprising 10% (w/w) of compound A
- 동일 출원인에 의한 최선행 출원 = A tablet comprising 5 to 33% (w/w) of compound A
G 1/15에 따라, 5 ~ 33%와 관련된 주제는 A87(1)의 의미 내에서 최초의 출원이 아니기 때문에 우선권을 부여받을 수 없음. 청구항에 신규성이 없음. (T 282/12) 대신, 3-5%에 대해서는 신규성 인정됨.
사안 3:
- B 타원을 제외한 직사각형 = 출원인 V가 소유한 우선권
- A 타원은 청구된 subject matter
절차적 요건
취지 및 증명서류
(1) An applicant desiring to take advantage of the priority of a previous application shall file a declaration of priority and any other document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ing Regulations. |
취지 (Rule 52: declaration)
- R52(1): 선언에서 Date, State, Number를 명시해야 함.
- R52(2): 출원 시 선언이 바람직하나, 우선일로부터 16개월 후 선언 가능(FP 불가, re-establishment 가능)
- R52(3): (가장 빠른) 우선일로부터 최대 16개월까지 & 출원 후 4개월 이내에 정정 가능
- R52(4): 조기 공개요청이 제출된 후에는 선언/정정할 수 없음
증명서류 (Rule 53: document required)
- R53(1)에 따라 우선권 부여 후 16개월 이내에 우선권 서류의 인증 사본(certified copy of priority document)을 제출해야 함.
- 또는 R59에 따른 invitation, 일반적으로 2개월 (R132(2)) 이내에
- 미준수 = 우선권 상실 (A90(5))
- R53(2): 문서가 EPO에 제공되는 경우 필요하지 않음
- Dec. Pres. OJ 2012, 492 A.1; OJ 2012, 494 에서 이를 명시함
- 해당 국가: EP, PCT(EP), CN, JP, KR, US
- R53 (3): 관련이있는 경우 EPO는 출원인에게 번역 또는 선언문을 제출하도록 초대함.
- GL A-III, 6.8에 설정된 시간 제한
- 등록 전에는, FP 가능
- 미준수 = 우선권 상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