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O 유럽특허와 개별국 선행 권리와의 충돌

유럽특허와 개별국 특허 사이의 등록요건 관련 Conflict

EPO에서 등록 받은 특허는 단일 절차를 통해 심사되어 권리가 형성되지만 (Unitary Patent 는 후술하여 별론으로 하고) 무효여부는 개별 국가에서 판단될 수 있다. 아래의 Article 138에서 무효사유를 제시한다.

Article 138[ 167 ]
Revocation of European patents

(1) Subject to Article 139, a European patent may be revoked with effect for a Contracting State only on the grounds that:
(a) the subject-matter of the European patent is not patentable under Articles 52 to 57 [특허성];
(b) the European patent does not disclose the invention in a manner sufficiently clear and complete for it to be carried out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뒷받침 충분성];
(c)[ 168 ] the subject-matter of the European patent extends beyond the content of the application as filed or, if the patent was granted on a divisional application or on a new application filed under Article 61, beyond the content of the earlier application as filed [보정 적법성];
(d) the protection conferred by the European patent has been extended [연장된 경우]; or
(e) the proprietor of the European patent is not entitled under Article 60, paragraph 1 [무권리자].

위 규정은 Article 139에 종속되는데 이는 개별국가 출원에 따른 권리와 유럽출원에 따른 권리가 서로에게 동일한 "선행권리"로서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Article 139[ 169 ]
Prior rights and rights arising on the same date
(1) In any designated Contracting State a European patent application and a European patent shall have with regard to a national patent application and a national patent the same prior right effect as a national patent application and a national patent.
[즉, 개별지정국 내에서 유럽특허출원/특허권이 개별국 출원/특허에 대해 선행 권리로서 효과를 가짐]
(2) A national patent application and a national patent in a Contracting State shall have with regard to a European patent designating that Contracting State the same prior right effect as if the European patent were a national patent.
[즉, 개별지정국 내에서 개별국 출원/특허가 유럽특허출원/특허권에 대해 선행 권리로서 효과를 가짐]


선행권리 (Prior rights)가 무엇인지?

위와 같이 유럽출원/특허와 개별국 출원/특허사이에는 서로 선행권리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선행권리는 무엇인가? 특허요건으로서 선행출원이 후속출원에 미치는 권리이므로 Article 54(3)에 따른 선출원의 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링크의 유럽특허 가이드에 설명된다. 



Prior rights
3.3.003 
The state of the art is also held to comprise the content of European patent applications filed before the date of filing or priority but not published until on or after that date.
[즉, 본 출원일 (또는 우선일) 이전에 출원되며 그 때 또는 이후까지 공개되지 않은 유럽출원의 내용이 선행기술을 구성한다 - 즉, 확대된 선출원 지위에 있는 문헌과 같은 개념]
A PCT application which is filed before the date of filing or priority but not published until on or after that date and for which the EPO acts as designated Office forms part of the state of the art for the purposes of Article 54(3) if the filing fee has been paid to the EPO and the PCT application is published in one of the EPO's official languages (English, French or German). If the PCT application was published in Arabic, Chinese, Japanese, Korean, Portuguese, Russian or Spanish, a translation into one of the official languages of the EPO must have been filed with the EPO, which will publish it (see point 2.3.002).
[단, PCT 출원인 경우 EPO에 출원비가 납부되고 EPO 공식언어로 공개되어야 함, EPO 공식 언어로 공개되지 않은 경우 번역문이 제출되어야 함]
Everything in the earlier application as filed is prejudicial to novelty.
[선행출원의 "출원 당시"의 내용이 신규성 공격에 사용될 수 있음]
The consequences that any earlier national patent applications or patents have for the patentability of the invention in the designated contracting states are assessed by the competent national courts after the European patent has been granted (but see point 4.2.040).
[선행 개별출원이 개별국가내에서 특허성에 미치는 결과는 유럽특허가 등록되고 개별국 법원에서 판단된다]

 

개별국 선행권리에 따른 심사 결과


이상과 같이 개별국에서 선행권리에 의해 무효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EPO 심사 실무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처리되는 것인지 알아본다. 심사기준 Part H. III.4.4에 잘 나와 있다.


EPO의 심사단계에서 개별국가의 선행 출원/특허는 심사 대상이 아니다. Article 139(2)에 따른 개별국 권리는 유럽특허의 등록 이후에 무효사유가 될 뿐이다. 이러한 권리는 유럽특허법의 uniformity의 예외로서 작용된다. 따라서 개별국 선행권리가 존재하는 경우 EPO는 출원인이 다른 (보다 좁은) 청구항을 제출함으로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Rule 138[ 149 ]

Different claims, description and drawings for different States

If the European Patent Office is informed of the existence of a prior right under Article 139, paragraph 2, the European patent application or European patent may, for such State or States, contain claims and, where appropriate, a description and drawing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for the other designated States.

[Article 139(2)에 따라 선행권리가 있음으로 EPO가 알게 된 경우 유럽특허출원/특허는 그러한 국가에 대해 다른 청구항, 발명의 설명, 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특허 제도하에서의 문제점과 top-up search

단일특허 제도하에서는 UPC 체약국 모두에서 동일한 청구항을 전제로 단일특허가 획득될 수 있다. 선행권리가 존재하는 하나의 UPC 체약국에서만 청구항을 보정할 수 있는 출원이 가능하지 않다.

선행 권리가 어떤 개별국가에서 있을 것이라 예상하지 못하고 단일특허가 얻어진 경우 단일 특허 전체가 포기되어야 하는 리스크가 있다. 단일특허를 전통적인 개별국 특허로 전환하는 조항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EPO는 2022년 9월 1일부로 Rule 71(3) 커뮤니케이션과 함께 earlier national right에 대한 조사 및 평가 (top-up search)를 제공해준다. 이는 non-binding information이며 해당 national right에 대한 평가는 출원인의 책임에 달려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유럽특허 독파하기] 11. Claims (Articles 84 EPC); Rule 43; 필수적 특징; PBP

EPO는 23년 1월부터 이의신청의 구두절차(oral proceeding)의 기본 형식을 화상회의(ViCo)로 정하였음

[유럽특허 독파하기] 13. 발명자의 지정 (Designation of the inventor)